2달 넘도록 전기료 치솟은 이유 원인분석조차 못해

 공주보 개방 이후 소형 관정이 말라붙으면서 환경부가 부랴부랴 파 놓은 공주시 쌍신뜰의 중형관정이 치솟는 전기요금 때문에 농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공주보 개방 이후 지하수 전기요금이 10배 가까이 폭등하면서 농민들은 발을 동동 구르고 있지만, 정부와 지자체는 여전히 ‘강 건너 불구경’이다.

민원이 빗발치자 환경부는 부랴부랴 실태파악에 나섰지만, 2달이 넘도록 어떤 대책도 내놓지 않고 있다. 심지어 전기요굼이 치솟은 이유에 대한 원인분석조차 내놓지 못하고 있다.

공주보 인근인 충남 공주시 쌍신동에서 농사를 짓고 있는 주민들은 “예전 3만~4만 원이면 족했던 전기요금이 환경부가 파준 대형 지하수 관정 사용 후 5배에서 10배가량 올랐다”며 대책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김윤호 쌍신통장은 “정부가 파 준 지하수 관정으로 인해 전기세가 많이 나온다고 다들 아우성”이라며 “여러 실태를 취합해 공주시와 정부에 전기세 등에 대한 지원을 건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쌍신뜰에서 하우스 농사 등을 짓는 김두환 씨 또한 “2~3만 원이던 전기요금이 20만 원 넘게 나왔다”며 “당초 관정을 팔 때 유지비를 농가에게 전가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건의했지만 묵살됐다”며 정부의 무성의를 강력 비판했다.

논농사만 짓고 있다는 장 모씨도 “약 1600평(8마지기)의 논농사에 전기세가 무려 20만 원 넘는다는 게 말이 되나”라며 “더구나 지난해는 비가 많이 와 사용도 많이 하지 않았는데”라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공주보에서 4~5km 떨어진 우성뜰에서 농사를 짓고 있는 이국현 씨 또한 “쌍신뜰만의 문제가 아니다. 많은 농민들이 정부가 파준 지하수 관정 때문에 골머리를 앓아 지난 4월 열린 금강수계 민관협의체 회의에서도 대책 마련을 건의한 바 있다”며 “저 또한 예전 1~2만 원이던 전기세가 30여만 원 가까이 나와 도저히 쓸 수 없는 지경이다. 기본요금만 10만 원이 넘다보니 한전에서조차 농한기에 전기를 끊으라고 권유할 정도”라고 하소연했다.

지난 2018년 3월 공주보 완전 개방 후 농민들이 기존에 파 놓았던 10여m 안팎의 소형 관정이 모두 말라붙자 환경부는 부랴부랴 평균 140~150m 깊이의 중형관정을 파줬다. 1개 관정 당 약 2000만 원의 예산이 소요된 지하수 관정만 28곳에 이른다.

편하게 쓰라고 파 준 지하수 관정이 치솟는 전기요금을 감당하지 못해 사용을 기피하면서 ‘애물단지’로 전락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와 함께 ‘돈 먹는 하마’라는 비판이 쏟아지자 환경부는 지난 5월 말 실태파악에 나섰다.

현장조사와 함께 한국전력에 전기요금 내역을 요청하는 등 부산을 떨었다. 하지만 2달이 넘도록 어떤 대책도 내놓지 않으면서 늑장대응이라는 비난을 사고 있다. 심지어 전기요굼이 치솟은 이유에 대한 원인분석조차 내놓지 못하고 있다.

다만 ‘쌍신동 내 7개 관측정의 지하수위 확인 결과 전반적으로 수위 저하는 관측되지 않았고, 공주보 개방과 전기료 상승 간의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았다’는 해명자료를 서둘러 발표했을 뿐이다.

지하수위가 떨어지지 않았다는 환경부 입장에 대해 쌍신뜰 농민들의 입장은 다르다. 지하수 양이 줄어든 만큼 펌프 가동시간이 늘어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전기료가 치솟고 있다는 주장이다.

김윤호 쌍신통장은 “3000리터 들이 수조를 채우는데 1시간 정도 펌프를 가동했다면 최근에는 30여분을 더 가동해야 가능하다. 당초 지하수량의 70~80수준으로 보면 맞을 것”이라면서 “환경부 현장조사 당시에도 4~5곳 정도가 물이 잘 나오지 않는다는 얘길 전했다”고 밝혔다.

지하수위 저하와 관련한 온도차, 보 개방과 전기료 상승 간의 상관관계, 치솟는 전기료에 대한 향후 대책 등을 묻기 위해 환경부 관계자와 여러 차례 통화했지만 끝내 대답을 듣지 못했다.
 

저작권자 © 파워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